본문 바로가기
PC

키보드 배열을 수정해 주는 KeyTweak 사용법

by 에디터 케이 2018. 2. 9.


키보드 배열을 수정해 주는 KeyTweak 사용법


최근에 한성노트북을 새로 구입했는데 OS가 포함되지 않은 FreeDOS 제품이라 직접 윈도우10을 설치했습니다. 윈도우는 정상적으로 설치가 된 것 같았는데 설치 완료 후 사용하다 보니 왠 걸? 한/영 변환키가 먹지 않는 겁니다. 물론 마우스로 화면 우측 하단의 언어 변경 부분을 클릭하면 정상적으로 한/영 변환은 됩니다. 하지만 매번 마우스로 변환하지니 이 게 여간 번거로운 게 아닙니다.


설정에 들어가서 언어 항목을 이리저리 만져봐도 도무지 한/영키의 정상적인 사용은 되질 않네요. 검색을 해 보면 설정에서 바꾸면 된다고도 하고 레지스트리값을 만지면 된다고도 하던데, 제 부족한 실력으론 레지스트리를 당장 어떻게 만져볼 수도 없고해서 찾은 방법이 바로


'KeyTweak' 입니다!!


* 키보드 배열을 손쉽게 수정하자 KeyTweak




KeyTweak은 키보드 재배치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1. 키보드 키 위치를 사용자 임으로 재배치하여 원하는 위치에서 사용할 수 있게 합니다.

2. 재배치된 키보드를 사용할지, 기존 키보드를 사용할지 선택이 가능합니다.

3. 또한 특별히 사용을 하지 않아 불편한 키보드 키를 비활성화 시켜 사용이 되지 않도록 할 수 있고,

4. 특수 키보드의 특수키도 매핑이 가능합니다.

(네이버 소프트웨어 설명에서 스크랩)

여하튼 제게 당장 필요한 기능은 스페이스 오른쪽의 한/영키가 동작하게 하는 것이기에 바로 설치하고 실행에 들어갔습니다. 현재 노트북에서는 스페이스바 우측의 한/영키가 메뉴키로 동작이 되고 있으니 이 걸 바꿔보겠습니다.



설치는 간단하게 끝이 나고 실행을 하면 아래와 같이 키보드의 배열이 된 화면이 나타납니다. 여기서 키보드를 재배치 하려면 중앙 하단의 [Half Teach Mode]를 클릭합니다.



왼쪽의 [Full Teach Mode]를 실행해 봤는데 무슨 이유에선지 제 컴에선 에러가 뜨길래 다시 검색해 보니 [Half Teach Mode]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네요.



 [Half Teach Mode]를 클릭하면 위와 같은 창이 뜨는데 여기서 상단의 [Scan a single Key] 부분을 클릭한 뒤 리맵핑하고자 하는 키를 키보드에서 먼저 눌러줍니다.  기존의 비정상적으로 동작하던 키를 눌러주는 것이죠, 그 다음 바로 아래의 [Destination Key] 항목에서 해당 키보드의 키가 동작되게 하고자 하는 키 값을 찾아 선택해 줍니다.



-  [Destination Key] 항목에서 원하는 값을 선택하고 난 뒤에는 오른쪽에 있는 [Remap] 버튼을 눌러 주고 나옵니다. 그럼 초기화면  오른쪽 창에 아래와 같이 리맵핑 된 값이 디스플레이 되는데 그 아래의 [Apply] 키를 누른뒤 재부팅을 하고 나면 리맵핑된 키값이 적용됩니다.



참고로 재부팅이 번거롭다면 재부팅 하지 않고도 사용자 [로그오프→로그인] 과정만으로도 바로 리맵핑된 키가 적용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키보드 상에서 사용빈도가 낮은 키들을 자주 쓰는 기능키들로 바꿔 사용하는 것도 재미있겠습니다.


리맵핑 방법에는 위에서 설명한 [Half Teach Mode] 외에도 여러가지 방법이 있긴 한데, 여기서는 제가 안정적으로 테스트한 방식만을 우선 설명드렸습니다. 다른 방법도 테스트 해 보시면 되겠습니다.


이상과 같이  '키보드 배열을 수정해 주는 KeyTweak 사용법'에 대해서 설명드렸습니다. 오늘도 유용하고 에너지 넘치는 IT 생활 하시기 바랍니다. 에디터-K였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로그인 없이 가능한
아래 하트♥공감 버튼을 꾹 눌러주세요!